수도권에서 1000채 넘는 빌라와 오피스텔을 소유하고 있는 임대업자가 사망하였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세입자들이 전세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하고 있다고 하네요.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때를 대비하여 준비하는 게 전세금반환보증보험입니다. 집주인이 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서 세입자가 계약 해지를 통보 후 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보증금을 미리 지급 후에 소유자에게 변제받는 방식입니다.
소유주의 사망으로 계약 해지를 통보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계약 해지 통보가 충족이 되지 못하자 주택도시보증공사도 대위 변제 절차를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상속 절차가 끝나야 소유주 확정이 가능한데 현재 상속이 불확실하다고 합니다. 세금도 62억을 연체하여 상속을 받을 희망은 희박합니다.
보험을 들어놓았어도 소유자가 사망하는 경우 이런 문제가 발행할 수 있습니다. 현재 보증금 반환을 못 받고 있는 세입자들이 최소 200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상속관리인이 정해질 때까지 오래 걸릴 수 있다고 합니다.
빌라는 전세사기가 정말 많은 것 같습니다. 전세사기 극성으로 방지 대책까지 나왔던 걸로 기억하는데 완전한 사기 방지는 힘든가 봅니다.
빌라 전세 정말 조심하세요. 빌라 전세 구하실 때는 무조건 집을 많이 보고 시세를 파악하고 계약하셔야 합니다. 1000명이 넘는 임차인 분들 너무 힘들 것 같네요. 빨리 해결되길 바랍니다.
'눈이가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피로 푸는 방법 및 좋은 음식 (0) | 2023.01.02 |
---|---|
만 나이 도입 시기 및 계산 방법 (0) | 2022.12.27 |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평균 키 몸무게 알아보기 (0) | 2022.12.09 |
취득하면 바로 취업 가능한 자격증 3가지(경력단절 여성 집중) (0) | 2022.11.26 |
키 크는 법 중 가장 중요한 3가지 (0) | 2022.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