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눈이가는정보

MBTI 성격 유형 알아보기

by 반짝반짝임 2023. 3. 31.

 사람들을 만나면 '넌 mbti가 뭐야?' 하는 분들이 너무 많아서 궁금해졌습니다. 한참 MBTI가 유행을 하였습니다. 관심이 없었는데 유행이 계속 가네요.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면 물어보기도 하고 해서 무엇인지 알아보기로 합니다.

 

1. MBTI가 뭔가요?

MBTI는 '마이어스 브릭스 유형 지표'의 줄임말입니다. 스위스의 분석심리학자인 카를 융의 심리유형론을 토대로 만든 성격유형이라고 합니다. MBTI는 E-I, S-N, T-F, J-P로서 4가지 지표를 조합하여 성격을 16가지 유형으로 분류합니다. 이 4가지 지표가 어떤 성격을 나타내고 있는지 함께 알아봅시다.

 

2. MBTI의 선호지표

MBTI에서는 아래와 같은 4가지 선호지표가 있습니다.

mbti유형
mbti유형

 

3. 외향성(E), 내향성(I)

mbti유형 중 E,I설명 이미지
외향적(E)과 내향적(I)

 E와 I의 구분은 에너지가 어느 방향으로 흐르는지를 나타냅니다. 에너지가 밖으로 향하는지 아니면 안으로 향하는지로의 관한 구분입니다.

 

 (1) 외향성(E)

  • 외부로 에너지를 발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사교적이며 활동을 열정적으로 합니다.
  • 어디를 가더라도 잘 드러납니다.
  • 대인관계에 관심이 많으며 잘 어울립니다.
  • 스트레스를 풀 때 여러 사람과 만나면서 시간을 보냅니다.

(2) 내향성(I)

  • 깊은 대인관계를 유지합니다.
  • 사람과의 만남을 피곤해하며 혼자의 시간을 즐깁니다.
  • 소수의 사라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합니다.
  • 스트레스를 받으면 주로 혼자 시간을 보내야 잘 풀립니다.

 

 

4. 감각형(S), 직관형(N)

mbti유형중 S, N에 관한 설명 이미지
감각형(S)와 직관형(N)

 

S와 N은 정보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관한 방식의 구분입니다.

 

(1) 감각형(S)

  • 실제 경험을 중시합니다.
  •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정보를 인식합니다.
  • 관찰력이 뛰어나며 상세한 정보도 기억합니다.
  • 정보를 인식할 때 오감을 활용합니다.
  • 숲을 보기보다는 나무를 보는 편입니다.

(2) 직관형(N)

  • 자신의 육감과 영감에 의존하여 정보를 인식합니다.
  • 정보로 인하여 미래에 어떻게 될지에 관하여 관심이 많습니다.
  • 아이디어가 다양합니다.
  • 사물을 보았을 때 연관된 다른 정보를 떠올립니다.
  • 전체적인 숲을 보며 전체적인 흐름을 중요시합니다.

 

 

5. 사고형(T), 감정형(F)

mbti유형 T, F설명 이미지
사고형(T)와 감정형(F)

 T와 F는 의사결정을 내릴 때 어떻게 내리는지에 관한 분류입니다.

 

(1) 사고형(T)

  • 논리적이며 분석적으로 결정을 내립니다.
  • 객관적 사실을 중요시 여기며 진실과 사실에 관심을 가집니다.
  • 문제를 분석하여 객관적으로 해결하는데 집중합니다.
  • 감정이나 인정보다는 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2) 감정형(F)

  • 상대방을 배려하며 주변상황의 조화를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 문제발생 시 상대의 입장을 고려하는 등의 관계에 집중합니다.
  • 친한 사람과의 갈등 시 잘 지내기 위해 그냥 지나가기도 합니다.

 

 

6. 판단형(J), 인식형(P)

mbti유형중 J와 P의 설명 이미지
판단형(J)와 인식형(P)

 

외부에 대한 태도나 적응에 대한 내용입니다.

 

(1) 판단형(J)

  • 계획을 잘 짜며 계획대로 지낼 때 안정 느낍니다.
  • 계획대로 일을 진행하고 완성하는 것을 중요시 여깁니다.
  • 여행을 가거나, 공부를 할 때 미리 계획을 잘 짜서 실행합니다.

(2) 인식형(P)

  •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행동합니다.
  • 여유롭게 상황을 즐기는 것을 좋아합니다.
  • 순간순간 적응해 나가는 편입니다.

 

 

7. 결론

 MBTI의 성격유형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각 성격별 특징을 알아두시면 MBTI의 여러 유형에 따라 사람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각 유형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 성격의 사람이 있구나' 하고 서로를 이해하는 데 사용하시면 좋겠습니다.

 

댓글